본문 바로가기

개발자 취업 프로젝트[일지]

💻개발자가 되기 위한 프로젝트(95)💻

06.20.2023 - 학습 일지
[국비] 백엔드 과정
오전 활동
T : AM 09:00 - 11:50
Algorithms
※ [학습 내용] ※

Algorithms - Queue(LinkedList, ArrayList), BFS
  1. ArrayList 와 LinkedList 성능 비교함
  2. 연결 리스트 구하기 문제 풀이함 => LinkedList를 이용하여 각 메서드의 기능을 활용해보는 시간을 가짐
  3. BFS(너비 우선 탐색) => enQueue, deQueue를 이용하여 Queue에 대한 이해도를 한층 더 높여가는 시간을 가짐
Algorithms (실습)

Algorithms - LinkedList와 ArrayList 성능비교
Algorithms - LinkedList 메소드별 기능을 알가는 시간
Algorithms - BFS


[국비] 백엔드 과정
※ 오후 활동 ※
T : PM 13:00 - 18:00
SpringBoot
※ [학습 내용] ※

SpringBoot - REST
  1. DTO [Field Add, RESTful을 구현해주기 위해 HTTP통신 시 필요한 값을 설정하는 작업]
    - ArticleDto : String(writer), List<String>(comments)
    - UserDto : String(name, address), Integer(age)
    - ArticleComplexDto : String(title, content), UserDto(writer), List<String>(comments)
    - ArticleWithCommentsDto : String(title, content, writer), List<String>(comments)
  2. Controller [Method Add, HTTP통신을 위한 작업]
    - BodyController : Domain(body2, body3, body4, entity)을 추가하고 각 method를 생성하여builder api tool을 이용하여 HTTP통신이 잘 이루어지는지 Test함 
    - ServletController : Domain(servlet)을 추가하고 method를 생성하여 builder api tool을 이용하여 HTTP통신이 잘 이루어지는지 Test함
  3. PostMan : Builder API Tool(HTTP 통신을 하기 위한 도구)를 사용하고, Data를 JSON 형태로 값을 Request함 
SpringBoot (실습)

SpringBoot[REST] - BodyController에서 Domain body를 이용한 HTTP통신 Test한 결과와 Request할 JSON형태의 값이 Output에서는 원하는 값이 잘 표현되는가를 확인함
SpringBoot[REST] - BodyController에서 Domain entity를 이용한 HTTP통신의 Test한 결과와 Request할 JSON형태의 값이 Output에서는 원하는 값이 잘 표현되는가를 확인함
SpringBoot[REST] - ServletController에서 Domain servlet을 이용한 HTTP통신의 결과물이 JSON형태 그대로 Response한 값이 표현된 것을 알 수 있음
SpringBoot[REST] - 각 DTO를 생성하여 각 Method별 기능에 필요한 Entity의 값을 저장하고 표현해주기 위한 작업

마무리
오전은 알고리즘을 갖는 시간이 BFS(너비 우선 탐색)을 진행 하였지만, 그외에도 어제 다루다 시간이 다되어서 이어서 Queue관련 기능과 LinedList, ArrayList에 대해서 간단하게 각 Method기능에 대해서 출력해보는 시간을 가져가면서 조금 더 이해를 하는 시간을 보냈고, 오후는 SpringBoot HTTP를 이어서 REST에 관련해 학습을 이어나갔고, 왜 Rest가 탄생했고 Restful 형태를 주로 많이 사용하고, Restful 을 사용하기 위해 애노테이션을 이용하여 PostMan(Builder Api Tool)을 가지고 해당 method의 기능이 잘동작하는가를 Test하고, Builder Pattern을 이용하여 상태값[200, 201, 202, 400, 404, 500등]을 표기하여 서비스를 관리하는 차원에서도 필요하고 자주사용되는 기능에 대해서도 학습을 하였다. 물론 오늘 배운 것이 다 머릿속에 남고 이해하고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어떤의미로 이용할려는지는 인지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Json, Gson이란 것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설명을 하셨지만, 어떻게 나왔고 현재는 JSON 형태로 서버간 통신을 주고 받거나 Data를 분석할때에도 JSON 형태 파일을 받아 사용되기도 한다는 점을 알게되었다. 되게 찾아가면서 학습을 하다보니 재밌고 조금 더 깊게 들어갈 수 록 신기하고 흥미롭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