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ethod

💻개발자가 되기 위한 프로젝트(65)💻 1. AM 09:00 ~ PM 18:00분 : BE(백엔드 KDT) - Java 단축키, Git명령어[push, merge, branch add], while, for, if, array, int, break, min, max, math, stream 1. Git명령어 [commit, branch add, push, merge], Github[java-project2[(method, public, parameter, if, for, switch-case), Account, ArgsPrinter, Divisor, Greet, GreetTest, Payment, SpaceInvaders, SpaceInvadersTest, StarPrintEx, StarPrintEx2, Student, StudentTest,.. 더보기
💻개발자가 되기 위한 프로젝트(17)💻 1. AM 09:00 ~ PM12:00분 : BE(백엔드 개발 공부) - BE 학습 & 용어정리! 1. TDD 단계별 Test 환경 갖추면서 실패 및 성공물 기록 2. 코드 별 잘모르거나, 알아도 용어를 설명이 안되는 부분들 Comment 달아서 어떤의미의 코드인지 기입 3. Class, Method 등 역할들 Comment 및 검색을 통해서 어떤 의미인지 파악함 2. PM 13:20 ~ 20:00분 : BE(백엔드 개발 공부) - BE 학습 & 용어정리! 1. 낮은 결합도에 의해 코드가 중복되거나, 에러가 나는 현상등을 최소화하는 작업을 진행 2. 부모 Class 상속 받아 조금 더 코드의 재활용성을 높여줌 3. 인터페이스를 상속 받아 자식 Class에게 코드의 유연성과 결합도를 높여줌 3. 객체지향 .. 더보기
☕함수 호출, 스택 메모리, 메서드☕ 오늘은 함수 호출 하는 법과 스택 메모리에 대해서 공부를 했고, 메서드의 활용법과 메서드가 무엇인지 공부를 하였다. 함수의 호출은 미리 내가 만들어 놓은 객체들을 불러와서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스택 메모리란? 간단하게 A,B,C가 있다고 가정하자! A를 불러오고 B를 불러오고 C를 불러온다고 한다면 쌓이는 순서는 A > B > C 순으로 메모리가 각각 저장이된다. 그리고 호출을 한다면? C > B > A 순으로 메모리를 반환해주는 것을 스택 메모리라 말한다. 즉, 먼저 쌓은 메모리가 나중에 호출된다는 뜻이다! 메서드(Method)는 객체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Class 내부에 구현을 할 수 있는 함수를 말한다. 앞으로 메서드 활용도도 많을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 더 깊게 배워보고 추후 메서드에 대해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