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주차 썸네일형 리스트형 💻프로그래밍 기초💻 벌써 4주차라는게 믿기지 않는다. 1~3주차동안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배우기는 했지만, 이렇게나 자세하게 기본부터 차근차근 배워간다는게 쉽지도 않지만 하면서 많이 느끼지만 점점 더 코딩에 대해서 매력적인 아이구나~ 라는게 느껴지기 시작했다. 할 수 록 재밌는게 html, css, js인것 같다. 물론 프론트엔드이면서도 눈에 보이기 때문인 것도 있겠지만, 깊게 공부하기란 힘들다고 생간한다. 특히 html,css는 어느정도 쉽게 따라가고 이해라도 되지만 js에서는 조금 어렵기도하면서 차근차근 하면서 구글링도 하고 그러니깐 도움이 되었다. 이번 4주차에서는 자바스크립트에 대해서 배웠다. 자바스크립트는 html은 집을 짓는 뼈대 작업이라면 css는 html이 틀을 잡아줬으니 예쁘게 꾸며주는 아이이고 js는 이제 .. 더보기 💻스파르타코딩[React - 입문] 4주차 과제💻 4주차 과제를 하면서 Firebase에 대해서도 배우고 Redux도 알고 Reducer, React에 대해서는 간단하게나마 흐름과 사용법등을 익히다보니 시간이 너무나도 빠르게 지나간 것 같다. 벌써 4주차도 끝나고 5주차가 다됬는데, React는 공부할 수 록 프론트의 꽃이라고 하는지 알 것 같다! 좀더 React에 대해서 공부를해서 좋은 포폴용도 또는 사이드 프로젝트를 만들어서 더 발전있는 개발자가 되는 날까지 열심히 코딩에 푹~~ 빠져볼려한다!! :) 더보기 💻스파르타코딩[React - 입문] 4주차 - Firebase 편💻 4주차 강의중 Firebase란 무엇인지를 배웠다. Firebase에대해서 React공부를 하면서 알게된 것인데, NoSQL Database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여러가지로 활용할 수 있는 Service이다. Firebase는 무엇일까요? Serverless와 동일하게 Server작업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만들어준 Service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크게 어렵지 않았죠? 공부하면서 왜 내가 Firebase를 사용하는지 강의에서는 하는지를 소개만 해주고 사용하는 것까지 나아가지만 왜 사용하고 이아이는 무엇인지를 알고 가야하니깐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알고 사용하는게 좋으니 잠시 Firebase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을 해드렸습니다! Firebase는 NoSQL을 활용한 Server D.. 더보기 💻스파르타코딩[React - 입문] 4주차 - Server vs Serverless편💻 4주차 공부중 Server와 Serverless에 대해서 구분을 해준 part가 있었다. Server는 우리가 여태까지 배운대로 Back-End에서 Server에 배포하기 위한 작업으로 여러가지를 시도하고 배포하고를 하면서 조금은 익숙해져 있을 것이다. 간단하다 위 설명처럼 Client가 Server에 Event를 발생시켜주면 Server에서 어? Client에서 Event발생 시켰어요!!(여기 과정이 Request -> 요청) 그럼 작동하게 해줘야하니 그런 과정이 Responses(응답)이라고 해요! 간단합니다!! Serverless는 이미 우리가 만들어진 Server를 가져오거나, 필요한 부분만 사용하는 것을 말해요!! 즉 우리가 하나하나 Server를 구축하지 않고도 Server운영을 하는데 문제없.. 더보기 💻스파르타코딩[웹개발 플러스] - 4주차[과제]💻 4주차 마지막 과제이자 강의를 끝마치면서, 느낀점은 이제 왕초보 시작반, 웹개발 플러스에서 배운 것들을 가지고 최종 웹사이트의 기능을 만들어 보는게 저의 마지막 과제입니다! 비록 웹개발 플러스의 강의는 끝이 났지만, 재밌었습니다! 특히 Jinja2를 배우고 난뒤에 좀더 쉽게 코드를 HTML에 바로 적용할 수 있어서 좋았고, 이번에는 javascript의 기능들을 좀더 깊게 공부를 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flask, mongoDB, robo 3T등 활용하는 것에서는 이제는 익숙해졌다보니 개인적으로 프로젝트하게 된다면 스파르타코딩 클럽에서 배운 것을 활용하여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서 배포까지 할 계획이다. 이렇게 자신감을 뿜뿜하게 해주셔서 너무나도 감사하고 또 기회가 된다면 다른 강의도 구매하여 지금보다 .. 더보기 🎈스파르타코딩[내일배움] 웹개발 9일차💻 9일차 오늘은 Flask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Flask는 파이썬으로 작성된 웹 프레임워크의 하나로 Werkzeug 툴킷과 Jinja2 템플릿 엔진에 기반을 둔 BSD 라이선스입니다. Flask는 특별한 도구나 라이브러리가 필요없고 DB 추상화 계층, 양식 유효성 확인, 기타 기존의 서드파티 라이브러리가 공통 기능을 제공하고 Flask 자체에서 구현된 것처럼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또한 추가할 수 있는 확장 기능을 지원해 줍니다! 확장 기능은 객체 관계 매퍼, 양식 유효성 확인, 업로드 관리, 다양한 개방형 인증 기술, 여러 공통 프레임 워크 관련 도구들을 위해 존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Flask를 이용하여 서버를 간단하게 만들어 보았습니다! 서버와의 소통은 즉 내가 앞으로 웹사이트를 만들기전 필수..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