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일지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파르타코딩[React - 입문] 2주차 - Lifecycle Function편💻 2주차 공부중에 Lifecycle Function를 사용하면 좋은 Component에 대해서 배웠다. 갈 수 록 React에 대해서 빠르게 중요한 것들만 배우다 보니 너무 좋은 것 같다. 1주차에서는 결과물도 잘 나왔고, 2주차도 과제를 얼른 빠르게 배워서 제출하고 3주차로 달려가고 싶다! 자주 사용하는 컴포넌트를 2주차에서는 이렇게 사용이 되어진다는 것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미 사진에 설명이 다되어 있기에 설명은 생략한다.] 더보기 💻스파르타코딩[React-입문] 1주차 - Component편💻 1주차 공부중 Componet에 대해서 공부를 하게 되었는데 너무 재밌었고 한번은 들어보았지만 이렇게 귀에 쏙쏙 박히는 강의는 처음이였고 React입문을 하시는 분들에게 좀더 설명을 해드리고자하여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Componet란 React에서 하나의 틀! 즉, 사진에 설명처럼 블록이라고 보시면 되세요!아파트에서 1동, 2동, 3동 이렇게 나뉘는 것을 쉽게 비유해 드릴께요! 1,2,3동이 Componet라고 한다면 우린 또 1동안에 호수!! 즉 1동에서 3층 301호를 찾고 싶다!! 그럼 1동이라고 만들어놓은 Componet를 찾고 그안에 3층이라는 Componet를 찾고 이제 301호라는 Data를 보여주는 겁니다!! 이것을 Componet라고 정의합니다! State, Props란 무엇일까요? S.. 더보기 ☕생성자에 대해 알아보기!☕ 생성자에대해 공부를 하였습니다. 생성자란 내가 만들어 놓은 것을 메인에 가져와서 사용을 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Default 생성자는 반드시 하나 이상의 생성자가 Class안에 있어야 합니다. Class 생성자를 구현하지 않아도 new keyword와 함께 생성자를 호출 할 수 가 있습니다. 또한 컴파일러를 생성자 코드에도 넣어 줍니다. 이렇게 생성자와 Default 생성자를 알아 보았는데요? 간단하게 생성자와 Default를 어쩔때 사용하는게 좋은지를 살펴보았습니다. 더보기 ☕함수 호출, 스택 메모리, 메서드☕ 오늘은 함수 호출 하는 법과 스택 메모리에 대해서 공부를 했고, 메서드의 활용법과 메서드가 무엇인지 공부를 하였다. 함수의 호출은 미리 내가 만들어 놓은 객체들을 불러와서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스택 메모리란? 간단하게 A,B,C가 있다고 가정하자! A를 불러오고 B를 불러오고 C를 불러온다고 한다면 쌓이는 순서는 A > B > C 순으로 메모리가 각각 저장이된다. 그리고 호출을 한다면? C > B > A 순으로 메모리를 반환해주는 것을 스택 메모리라 말한다. 즉, 먼저 쌓은 메모리가 나중에 호출된다는 뜻이다! 메서드(Method)는 객체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Class 내부에 구현을 할 수 있는 함수를 말한다. 앞으로 메서드 활용도도 많을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 더 깊게 배워보고 추후 메서드에 대해서.. 더보기 💻스파르타코딩[웹개발 플러스] - 0주차💻 웹개발 왕초보반 완강하고 뭔가 더 배워보고 싶어서 선택한 강의가 바로~!!!! 웹개발 플러스가 되었습니다! :) 아쉽고 그래서 포인트도 많이 모았고 완주했다고 또 이렇게 할인쿠폰까지 뿌려주시다니..넘나 좋은것.. 앞으로 웹개발 플러스도 완강해서 원하는 포트폴리오를 만들고 추후에 왕초보때 배운거랑 플러스랑 잘 조율해서 좋은 웹사이트를 만들수 있으면 만들어 보는게 최종 목표이다! 시간이 걸리겠지만 무리한 계획은 아니라는 판단이 되기에 도전을 해본다! 그리고 매니저님들 너무나도 잘챙겨주시고 튜터님들도 즉문즉답시간이 아니더라도 가르쳐주시고..너무 감동쓰..🤦♂️ 스파르타코딩 클럽과의 인연이 되면서 부터 코딩이 더 재밌고 열심히 불코딩을 할 수 있게 되어서 넘나 행복합니다!! 0주차 이지만 완주까지 최선을 다해.. 더보기 이전 1 다음